백엔드 개발자(node.js)가 되는 과정

Nest.js 입문을 위한 맛보기 정리

soopy 2023. 8. 3. 19:57
728x90

What is Nest.js?

이전에 사용한 express는 사실 프레임워크라고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너무 제약 사항이 없는 편이었다. 프레임워크의 대표적인 특징은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서 필요한 초기설정, 아키텍처 틀이 정해져 있다는 점인데, express는 자잘한 기능까지도 하나부터 열까지 구현해야 한다는 점이 불편한 점이다. 자유도가 높다고도 볼 수 있겠지만 그만큼 오류를 범할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이다.
Nest나 Django와 같은 프레임워크는 API 요청, 응답 방법이라든지, 아키텍처 구성 방식이라든지 이미 강제로 정해진 부분이 있어 이를 지키지 않을 수 없도록 구현되어있다. 그렇게 약속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반드시 필요한 기능은 자동으로 파일 생성 및 코드 작성까지 미리 해준다. express가 제빵을 비교했을 때 밀가루와 물 정도만 던져주는 형태라면 Nest.js는 반죽할 그릇, 반죽 모양 틀, 반죽도구 등을 제공해주는 느낌이다. 그렇기 때문에 반죽을 어떤 그릇에 할지, 어떤 도구로 반죽을 평평하게 펼칠 지 등을 고민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아래와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 생각할 거리가 줄어들어 비지니스 로직의 퀄리티가 향상될 가능성이 커집니다!(진짜 집중해야할 기능에 집중할 수 있다.)
  • 자잘한 기능(유효성 검증을 위한 코드 작성 등) 직접 손대지 않아도 되므로 코드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얘기에요!(빨리빨리 할 수 있다는 의미)

Nest.js 실습하기

설치

npm i -g @nestjs/cli

프로젝트 생성

nest new 프로젝트명
# -> npm으로 설치
import { Controller, Get } from '@nestjs/common'
import { AppService } from './app.service'

@Controller()
export class AppController {
    constructor(private readonly appService: AppService) {}

    @Get()
    getHello(): string {
        return this.appService.getHello();
    }
}

앱 컨트롤러를 하나의 클래스로 정의해서 export한다.
constructor에 활용할 앱 서비스르 장착한다.
데코레이터 함수로 API 메서드를 정의한다.

테스트 코드 생성

jest라는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테스트를 한다.
app.controller.spec.ts 파일에 테스트용 빌드가 짜여져 있음 (와 미쳤네...)

IoC와 DI

Inversion of Control

기존 express방식에서는 컨트롤러 구조를 짜는 과정을 살펴보면

  1. 컨트롤러 파일 내부에 필요한 서비스 파일을 import했고,
  2. 컨트롤러 클래스 내부에서 서비스의 타입 선언을 한 뒤,
  3. constructor에서 서비스 인스턴스를 직접 생성해야 했다.
    위 과정은 필요한 서비스를 추가, 제거할 때 마다 고려해줘야 하는 방식이며, 적여야 할 부분이 많은 만큼 수정 시 휴먼 에러 발생 확률도 높아진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Nestjs에서는 사용하고자 하는 객체(위 예시에서는 서비스)를 일일이 직접 생성하고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권한을 Nest.js IoC 컨테이너에 위임한다. 즉 객체 제어 부분에 대해서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이를 IoC에 위임했다고 해서 제어 역전(Inversion of Control)이라고 부른다.

constructor(private readonly appService: AppService) {}

위 코드를 보는 것과 같이 필요한 서비스 import는 저 한 줄 만으로 충분하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우선 AppService라는 파일 자체를 Nest 프레임워크에서 자체 관리하기 때문이다. (제어권을 Nest에게 위임했기 때문)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의 줄임말인 DI는 말 그대로 Controller에 Service 객체를 주입하는 행위를 말한다. Controller 구조에 Service를 import하는 순간 Controller는 Service에 의존하게 된다. 이렇게 의존성 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주입이라는 단어를 채택한 것 같다.

Nest.js 입문하기

게시판 기능 구현 예시 살펴보기(without DB)

먼저 board(게시판)와 관련된 아키텍처를 구성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module과 controller 파일을 생성한다. 생성 방식은 프레임워크의 원칙에 따라 자동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 cli명령어로 수행한다.

# src 폴더 내에서 커멘드 실행합니다. (typescript니까)

# 글로벌, 모듈, 생성객체명
nest g mo board
# -> board 폴더 및 board.module.ts 파일 생성됨

# 글로벌, 컨트롤러, 생성객체명
nest g co board
# -> board.controller.ts 파일이 생성됨
# -> board.module.ts 내부 코드에 boardController 클래스가 자동 추가된다.

위 진행 순서를 봤을 때 앞으로 생성될 여러 컨트롤러가 모듈에 import 되어 최종적으로 board의 기능을 모아둔 하나의 '모듈'로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짜여지는 것 같다.

// board.controller.ts
import { Controller } from '@nestjs/common'

@Controller('board') // routing path
export class BoardController {}

컨트롤러를 생성하면 위 코드처럼 컨트롤러 데코레이터에 'board'라는 routing path까지 자동으로 잡아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글로벌, 서비스, 생성객체명
nest g s board
# -> board.service.ts 파일이 생성됨

서비스를 생성함과 동시에 모듈에도 탑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Controller에 service가 자동 탑재되지 않는다는 부분이다.(수동 입력 필요)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BoardController } from './board.controller';
import { BoardService } from './board.service';

@module({
  controllers: [BoardController],
  providers: [BoardService],
})
export class BoardModule {}

module에서 컨트롤러는 컨트롤러, 서비스는 프로바이더에 자동 탑재된다.

이제 최종적으로 board.module.ts는 초기 Nest프로젝트 생성 시 만들어졌던 app.module.ts로 전달되어야 할 것이다. 이 부분도 아래와 같이 이미 자동 연결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module({
    imports: [BoardModule],
    controllers: [AppController],
    providers: [AppService],
})
export class AppModule {}

본격 들어가기 전 lodash 패키지 살펴보기

해당 패키지는 자바스크립트 자체로 구현하기에는 다소 번거로운 여러 연산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틸리티이다.

가령 ['app', 'ball', 'cat']이라는 배열에 든 각각의 string length를 확인하고 싶다고 했을 때 일반적으로 iteration 코드와 length를 찍어 일일이 세어보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겠지만 아래와 같이 작성하고 답을 얻을 수 있다.

_.groupBy(['app', 'ball', 'cat'], 'length')
// -> { '3': ['app', 'cat'], '4': ['ball'] }
# lodash 설치
npm i lodash

🚨 commonjs 라이브러리 사용을 위해서는 tsconfig.json에서 "esMouleInterop": true 설정을 잊지 말자

기본 CRUD 틀 작성하기

import { Controller, Delete, Get, Post, Put } from '@nestjs/common';
import { BoardService } from './board.service';

@Controller('board')
export class BoardController {
  constructor(private readonly boardService: BoardService) {}

  @Get('/articles')
  getArticles() {
    return this.boardService.getArticles();
  }

  @Get('/articles/:id')
  getArticleById() {
    return this.boardService.getArticleById(id);
  }

  @Post('/articles')
  createArticle() {
    return this.boardService.createArticle();
  }

  @Put('/articles/:id')
  updateArticle() {
    return this.boardService.updateArticle(id);
  }

  @Delete('/articles/:id')
  deleteArticle() {
    return this.boardService.deleteArticle(id);
  }
}

Controller 데코레이터에 이어 GET, POST와 같은 API 메서드의 데코레이터에도 routing path가 입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 express에서 router가 하던 일을 컨트롤러에서 한꺼번에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 코드는 아직 데이터를 service에 전달하는 부분이 구현되어 있지 않다. express 환경에서는 API 요청 시 함께 전달해줘야 할 데이터(가령 id, 회원가입 정보 등)를 body parser 등을 통해 가져왔어야 하는데 해당 과정이 생략되어 있다. 그 이유는 Nest에서는 DTO라는 개념이 도입되어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코드를 따로 관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DTO 파일을 먼저 작성한 뒤 컨트롤러에서 불러오는 형태로 구현될 예정이다.
먼저 필요한 추가 패키지를 설치한 뒤 DTO를 어떻게 구성하는지 살펴보자

Nest의 편의성을 강화시켜줄 패키지 설치

손쉬운 타입 선언을 위한 패키지

npm i @nestjs/mapped-types

Nest에서 유효성 검사, XXX를 위해 필요한 패키지 설치

npm i class-validator class-transformer
// -> class-validator는 @nestjs/mapped-types의 의존성을 지니고 있어 반드시 설치 순서를 지켜줘야 한다.

DTO 작성

dto는 API 요청 시 전달받을 데이터를 따로 정의하고 타입을 선언, 유효성을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해당 파일은 CLI 명령으로 자동 생성되는 것이 아니므로 직접 파일 생성 및 수정이 필요하다.

// create-article.dto.ts
import { IsNumber, IsString } from 'class-validator';

export class CreateArticleDto {
  @IsString()
  readonly title: string;

  @IsString()
  readonly content: string;

  @IsNumber()
  readonly password: number;
}

IsString과 IsNumber와 같은 데코레이터 적용을 통해 유효성 검증을 매우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유효성 검사를 패키지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main.ts에서도 아래와 같은 설정이 필요하다.

// main.ts
import { ValidationPipe } from '@nestjs/common';
import { NestFactory } from '@nestjs/core';
import { AppModule } from './app.module';

async function bootstrap() {
  const app = await NestFactory.create(AppModule);
  app.useGlobalPipes(new ValidationPipe({ transform: true })); // 이 코드
  await app.listen(3000);
}
bootstrap();

ValidationPipe의 옵션으로 transform: true를 설정하면 API 요청 시 number 형태의 string은 알아서 number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가령 param으로 userId를 받게 되면 기본적으로 string으로 받아지기 때문에 유효성 검증에서 탈락하게 되는데 이를 유연하게 처리해주라는 의미가 된다.

위와 같이 DTO 파일을 기본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해당 예시는 게시글 create에 필요한 요소를 간단하게 구현한 예시인데, 향후 수정이나 삭제에 대한 DTO를 생성할 때도 위와 비슷한 형태의 코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즉 복붙의 기운이 느껴진다.

이러한 복붙이 아닌 좀 더 편리하게 DTO를 구성할 수 있게 돕는 패키지가 바로 @nestjs/mapped-types에 해당한다.

이를 설치했다면 아래와 같이 게시글 수정 DTO를 구성할 수 있다.

// update-article.dto.ts
import { PartialType } from '@nestjs/mapped-types';
import { CreateArticleDto } from './create-article.dto';

export class UpdateArticleDto extends PartialType(CreateArticleDto) {}

위 코드에서는 create-article.dto에 있는 클래스를 가지고 와서 PartialType 기능을 통해 코드를 간소화 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게시글 생성에 필요한 요소와 게시글 업데이트 시 필요한 요소가 같기 때문에 적용할 수 있는 명령이다. PartialType은 전체 타입 중 일부를 참조하겠다는 의미이다.

// delete-article.dto.ts
import { PickType } from '@nestjs/mapped-types';
import { CreateArticleDto } from './create-article.dto';

export class DeleteArticleDto extends PickType(CreateArticleDto, ['password'] as const) {}

게시글 삭제 기능의 경우 필요한 요소는 password이다. 이는 게시글 생성에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인데 PickType 기능을 사용하면 그 중 하나를 집어서 불러오는 기능을 뜻한다.

컨트롤러 작성하기(요소 받기)

이어서 컨트롤러에서 요청 시 body와 params와 같은 요소를 받아오는 코드를 작성합니다.

import { Body, Controller, Delete, Get, Param, Post, Put } from '@nestjs/common';
import { BoardService } from './board.service';
import { CreateArticleDto } from './dto/create-article.dto';
import { DeleteArticleDto } from './dto/delete-article.dto';
import { UpdateArticleDto } from './dto/update-article.dto';

@Controller('board')
export class BoardController {
  constructor(private readonly boardService: BoardService) {}

  @Get('/articles')
  getArticles() {
    return this.boardService.getArticles();
  }

  @Get('/articles/:id')
  getArticleById(@Param('id') articleId: number) {
    return this.boardService.getArticleById(articleId);
  }

  @Post('/articles')
  createArticle(@Body() data: CreateArticleDto) {
    return this.boardService.createArticle(
      data.title,
      data.content,
      data.password,
    );
  }

  @Put('/articles/:id')
  updateArticle(
    @Param('id') articleId: number,
    @Body() data: UpdateArticleDto,
  ) {
    return this.boardService.updateArticle(
      articleId,
      data.title,
      data.content,
      data.password,
    );
  }

  @Delete('/articles/:id')
  deleteArticle(
    @Param('id') articleId: number,
    @Body() data: DeleteArticleDto,
  ) {
    return this.boardService.deleteArticle(articleId, data.password);
  }
}

컨트롤러의 세부 함수의 파라미터로 @Body, @Param 데코레이터와 해당하는 DTO파일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필요한 요소를 받아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작성하기

현재 TypeORM을 적용하지 않고 단순히 배열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온다는 개념으로 간단하게 구현해보자

import {
  Injectable,
  NotFoundException,
  UnauthorizedException,
} from '@nestjs/common';
import _ from 'lodash';

@Injectable()
export class BoardService {
  private articles = [];

  // 게시글 비밀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Map 객체입니다.
  private articlePasswords = new Map();

  getArticles() {
    return this.articles;
  }

  getArticleById(id: number) {
    return this.articles.find((article) => return article.id === id);
  }

  createArticle(title: string, content: string, password: number) {
    const articleId = this.articles.length + 1;
    this.articles.push({ id: articleId, title, content });
    this.articlePasswords.set(articleId, password);
    return articleId;
  }

  updateArticle(id: number, title: string, content: string, password: number) {
    if (this.articlePasswords.get(id) !== password) {
      throw new UnauthorizedException(
        `Article password is not correct. id: ${id}`,
      );
    }

    const article = this.getArticleById(id);
    if (_.isNil(article)) {
      throw new NotFoundException(`Article not found. id: ${id}`);
    }

    article.title = title;
    article.content = content;
  }

  deleteArticle(id: number, password: number) {
    if (this.articlePasswords.get(id) !== password) {
      throw new UnauthorizedException(
        `Article password is not correct. id: ${id}`,
      );
    }

    this.articles = this.articles.filter((article) => article.id !== id);
  }
}

위 코드에서 주목해서 봐야할 점은 아래와 같다.

  1. 당연하겠지만 typescript 기반이니 서비스 함수마다 파라미터 타입 정의가 필요하다.
    createArticle(title: string, content: string, password: number) { // ...
  2. 예외처리를 status 코드 챙겨서 적용하기 보다는 아래와 같이 해당 클래스를 불러오자
    throw new UnauthorizedException(`Article password is not correct. id: ${id}`);
    throw new NotFoundException(`Article not found. id: ${id}`);
  3. lodash를 활용하여 null값에 대한 예외처리 시 사용하고 있다.
    if (_.isNil(article)) {
     // ...
    }

여기까지 DB없이 Nest.js로 간단한 게시글 CRUD 예시입니다.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