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통해 Nest.js 기반 API 서버와 라이브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AWS 서비스로 라이브 스트리밍을 구현하였으며 대략적인 Work Flow는 위 그림과 같다.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는지 단계별로 알아보고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살펴보자 1. 스튜디오 입장 BJ가 스트리밍을 시작하기에 앞서 준비 단계에 해당하는 페이지로 접속하며 이를 스튜디오로 칭했다. 해당 페이지에서는 스트리밍을 위한 신규 채널을 생성하고, 라이브 스트리밍을 진행할 수 있다. 2. 유저 정보 획득 입장한 유저의 신원을 조회한다. 이는 BJ가 스튜디오에 입장했을 때 종료되지 않은 스트리밍 채널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채널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이유는 첫째, BJ는 한 번에 여러 스트리밍 채널을 생성할 ..